728x90
반응형
🔍 1. “어공”과 “늘공” 기본 정의
- 어공(어쩌다 공무원): 선출권력이나 정권의 영향으로 임명되는 정무직·별정직 고위직 인사 (비정규직, 정권 기간에 맞춰 교체됨)
- 늘공(늘 공무원): 시험(9·7·5급 공채 또는 경력채용)을 통해 정규직으로 임용된 공무원
📊 2. 최신 통계로 본 공무원 구성 (2023년 기준)
직종 | 인원수 | 비율 |
정무직 (어공) | 125명 | 0.016% |
일반직 (늘공) | 181,420명 | 23.6% |
특정직 | 586,079명 | 76.4% |
별정직 | 443명 | 0.06% |
총계 | 768,067명 | — |
출처: 인사혁신처 2023 인사혁신통계연보 mpm.go.kr+1mpm.go.kr+1
인사혁신처 통계정보 바로가기
⚖️ 3. 어공 vs 늘공 비교
기준 | 어공 | 늘공 |
임용 방식 | 정치권 임명 (정무직·별정직 등) | 공채·경력채용(시험 합격) |
고용 형태 | 비정규·임기제 (정권 바뀔 때 사라질 수 있음) | 정규직·정년 보장 |
전문성 | 빠른 정책 반영 가능하나, 행정절차나 시스템 이해 부족 가능성 존재 | 안정성과 전문성 중심, 시스템 운용 숙련 |
장점 | 혁신 추진력·정책 방향성 확보 | 행정 지속성·공정성 유지 |
단점 | 조직 적응력·관료 문화 미숙 | 변화 수용이 느리고 융통성 부족 가능성 |
💡 4. 어공이 임명되는 대표 직책과 사례는?
대표 직책
- 장관·차관 (예: 국무총리비서관, 청와대 정책실장)
- 청와대·부처 비서관, 정책보좌관
- 정부 산하기관 임원 및 특별 임명직 등
주요 사례
- 문재인 정부 시절, 청와대와 국토부・부동산원 간 정책 변경 조율에서 어공 출신 비서관이 핵심 역할을 함
- 언론은 “캠프 출신 인사가 정권 정책에 빠르게 반영”한다며 어공 영향력에 주목
⚔️ 5. 늘공과 어공의 갈등이 정책 실행에 준 영향 사례
- 정책 수립 과정에서 의견 충돌
지방자치단체에서 정무직이 도입한 혁신정책이 전문 공직자들의 절차·예산 집행 방법과 달라 마찰 발생 - 추진 속도 차이
어공은 결과 중심적으로 빠른 정책 실행을 원하지만, 늘공은 행정 준칙을 우선시해 추진 속도에서 갈등
🛠️ 6. 어공과 늘공 협업 강화를 위한 구조적 전략
- 공통 목표·성과 지표 설정
- 정무직·정규직 간 협업을 위한 KPI 설정으로 역할 분담 명확
- 정규·비정규 워크숍 정례화
- 협업 워크숍, 교류 프로그램으로 상호 이해도 향상
- 멘토링 시스템 도입
- 늘공이 정책 실무 노하우를, 어공이 혁신 전략을 전달하며 선순환 구조 구축
📝 맺음말
- **어공(125명)**과 늘공(181,420명) 간 비율 차이는 확연하지만, 서로 다른 장점이 공존합니다.
- 균형 잡힌 행정 체계를 위해, 두 집단의 적절한 협력 구조가 필수입니다.
- 위 전략들이 실제 정권 교체 시 행정 연속성과 정책 효율성을 보장하는 밑거름이 되어줄 것입니다.
728x90
반응형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"4인 가구 최대 208만 원!" 민생 회복 위한 사상 최대 소비쿠폰과 지역화폐 지원 (1) | 2025.06.20 |
---|---|
정무직과 별정직의 차이점: 어공의 세계를 이해하다 (2) | 2025.06.13 |
암 정복을 향한 스마트 폭탄, '유도탄 항암제'의 대세 등극! (0) | 2025.06.12 |
2025년 공공배달앱 완전정복! 배달음식 1만원 할인 쿠폰 제공 (1) | 2025.06.10 |
의식하 진정내시경이란? 수면내시경과 뭐가 다를까? (1) | 2025.06.05 |